[이코테] 8. 최단 경로
관련 코드 구현
[BOJ] 1504 특정한 최단경로
[BOJ] 1753 최단경로
[BOJ] 11404 플로이드
[이코테] 실전 문제(예제)
최단 경로(Shortest Path)
최단 경로 알고리즘은 가장 짧은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이다.
최단 경로 알고리즘은 보통 그래프로 표현하는데 각 지점은 그래프에서 노드(Node, Vertex)로 표현되고, 각 지점 간 연결된 도로는 그래프에서 간선(Edge)로 표현된다. 해당 챕터에서 크게 2가지 알고리즘을 다룬다.
- 다익스트라(Dijkstra): 그리디 알고리즘, Single Source - All Destination, O(ElogV)
- 플로이드-워셜(Floyd-Warshall): 다이나믹 프로그래밍, All Source - All Destination, O(N^3)
다익스트라(Dijkstra) 최단 경로 알고리즘
다익스트라는 특정한 노드 하나에서 출발하여 다른 연결된 모든 노드로 가는 각각의 최단 경로를 구해주는 알고리즘이다. 음의 간선(Negative edge)가 없을 때 정상적으로 동작한다.
다익스트라는 기본적으로 그리디이다. 매번 가장 비용이 적은 노드를 선택해서 임의의 과정을 반복하기 때문이다.
- 출발 노드 설정
- 최단 거리 테이블(distance list)초기화
- 방문하지 않은 노드 중, 최단 거리가 가장 짧은 노드 선택
- 해당 노드를 거쳐 다른 노드로 가는 비용을 계산하여 최단 거리 테이블 갱신
- 3, 4번 반복
다익스트라는 방문하지 않은 노드 중에서 가장 최단 거리가 짧은 노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반복하는데(3번 과정), 이렇게 선택된 노드는 이미 최단 거리가 결정난 노드이므로 더이상 반복해도 최단 거리가 줄어들지 않는다. 즉, 한 단계당 하나의 노드에 대한 최단거리를 확실히 찾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. 따라서 마지막 노드는 다른 노드에 대해 더 짧은 경우가 있는지 볼 필요가 없다.
다익스트라를 구현하는 방법은 3번을 어떻게 구현하냐에 따라서 구현 난이도와 성능에서 차이가 난다.
아래 코드는 쉽게 구현할 수 있는 대신, O(V^2)의 성능을 갖는다.
import sys
INF = int(1e9)
# 노드의 개수, 간선의 개수를 입력받기
node, edge = map(int, sys.stdin.readline().rstrip().split())
# 시작 노드 입력받기
start = int(sys.stdin.readline().rstrip())
# 그래프 생성, 방문 노드 체크 리스트 생성, 최단거리 테이블 생성 및 무한으로 초기화
graph = [[] for _ in range(node + 1)]
visited = [False] * (node + 1)
distance = [INF] * (node + 1)
# 모든 간선 정보 입력받기
for _ in range(edge):
src, des, weight = map(int, sys.stdin.readline().rstrip().split())
graph[src].append((des, weight))
def get_smallest_node(): # O(V)
min_value = INF
index = 0
for i in range(1, node + 1):
if distance[i] < min_value and not visited[i]:
min_value = distance[i]
index = i
return index
def dijkstra(start):
# 시작 노드 초기화
distance[start] = 0
visited[start] = True
for j in graph[start]:
distance[j[0]] = j[1]
# 시작 노드를 제외한 전체 n-1 개의 노드에 대해 반복
for i in range(node-1):
# 현재 최단 거리가 가장 짧은 노드를 꺼내서, 방문 처리
now = get_smallest_node()
visited[now] = True
# 현재 노드와 연결된 다른 노드를 확인
for adj_node in graph[now]:
cost = distance[now] + adj_node[1]
# 기존 값보다 더 짧은 경우
if cost < distance[adj_node[0]]:
distance[adj_node[0]] = cost
dijkstra(start)
# 결과 출력
for i in range(1, node + 1):
if distance[i] == INF:
print("무한")
else:
print(distance[i])
위 코드는 최단 거리가 가장 짧은 노드를 매번 순차탐색 하기 때문에 O(V)가 소요된다. 따라서 코딩 테스트 문제에서 전체 노드의 개수가 5000개 이하라면 위 코드를 사용해도 시간에 구애받지 않는다. 하지만 10000개가 넘어가는 문제라면 시간초과가 발생할 수 있다.
따라서 get_smallest_node의 순차 탐색이 아닌, 최소 힙을 이용해 구현한다.
힙과 우선순위 큐에 대한 설명은 아래 링크에 자세하게 설명했다.
개선된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코드는 아래와 같다.
"""
다익스트라 알고리즘 - 최소 힙을 사용한
O(E*logV)
Single Source - All Destination
"""
import heapq
import sys
INF = int(1e9)
# 노드의 개수, 간선의 개수를 입력받기
node, edge = map(int, sys.stdin.readline().rstrip().split())
# 시작 노드 번호 입력받기
start = int(sys.stdin.readline().rstrip())
# 그래프 생성하고, 결과 리스트는 모두 무한대로 초기화
graph = [[] for i in range(node + 1)]
distance = [INF] * (node + 1)
# 모든 간선(edge)정보 입력받기
for _ in range(edge):
src, des, weight = map(int, sys.stdin.readline().rstrip().split())
graph[src].append((des, weight))
def dijkstra(start):
q = []
# 시작 노드로 가기 위한 최단 경로는 0으로 설정, 큐에 삽입
heapq.heappush(q, (0, start))
distance[start] = 0
while q: # 큐가 비어있지 않다면
# 가장 최단 거리가 짧은 노드에 대한 정보 꺼내기
dist, now = heapq.heappop(q)
# 현재 노드가 이미 처리된 적이 있는 노드라면 무시
if distance[now] < dist:
continue
# 현재 노드와 연결된 다른 인접한 노드들을 확인
for adj_node in graph[now]: # adj_node -> (목적지(des), 거리(weight))
cost = dist + adj_node[1]
# 현재 노드를 거쳐서, 다른 노드로 이동하는 거리가 더 짧은 경우
if cost < distance[adj_node[0]]:
distance[adj_node[0]] = cost
heapq.heappush(q, (cost, adj_node[0]))
# 다익스트라 수행
dijkstra(start)
# 모든 노드로 가기 위한 최단 거리 출력
for i in range(1, node + 1):
# 도달할 수 없는 경우 무한 출력
if distance[i] == INF:
print("무한")
else:
print(distance[i])
다익스트라는 우선순위 큐를 필요로 하는 다른 문제 유형과도 흡사하다. 그래프 문제로 유명한 최소 신장 트리(MST, Minimum Spanning Tree)를 풀 때에도 Prim 알고리즘의 구현이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의 구현과 흡사하다는 특징이 있다.
플로이드-워셜(Floyd-Warshall) 알고리즘
플로이드 워셜 알고리즘은 모든 지점에서 다른 모든 지점까지의 최단 경로를 구할 때 유용한 알고리즘이다.
노드의 개수가 N개라고 하자. 모든 지점에서 모든 지점으로의 최단 거리를 구하기 때문에 2차원 리스트를 사용한다. 따라서 모든 거리를 한 번 탐색하기 위해선 O(N^2)만큼 소요된다. 이를 노드의 개수만큼 반복해야 하므로 총 O(N^3)만큼 소요된다.
플로이드 워셜 알고리즘은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이다. 아이디어는 간단하다. 현재 노드가 K라고 할 때 A → B와 A → K → B 를 비교하여 더 거리가 짧은 노드로 업데이트 하는 원리이다.
- Dab = min(Dab, Dak + Dkb)
따라서 3중 포문을 이용하여 코드를 아래와 같이 구현한다.
"""
플로이드 워셜 알고리즘
All Source - All Destination
시간 복잡도: O(N^3)
"""
import sys
INF = int(1e9)
# 노드의 개수 및 간선의 개수를 입력받기
node = int(sys.stdin.readline().rstrip())
edge = int(sys.stdin.readline().rstrip())
# 2차원 리스트(그래프) 생성, 무한으로 초기화
graph = [[INF] * (node + 1) for _ in range(node + 1)] # 인덱스 1부터 라고 가정해서 node + 1
# 자기 자신으로 가는 비용은 0으로 초기화 (대각 행렬 0으로 초기화)
for i in range(1, node + 1):
for j in range(1, node + 1):
if i == j:
graph[i][j] = 0
# 주어진 입력 받아서 초기화
for _ in range(edge):
src, des, weight = map(int, sys.stdin.readline().rstrip().split())
graph[src][des] = weight
# 양방향일 경우 아래 한 줄 추가
# graph[des][src] = weight
# 점화식에 따라 floyd-warshall 알고리즘 수행
for k in range(1, node + 1):
for i in range(1, node + 1):
for j in range(1, node + 1):
# k를 지나치는 경로와, 직접 가는 경로중 더 짧은 경로로 업데이트
graph[i][j] = min(graph[i][j], graph[i][k], graph[k][j])
# 결과 출력
for i in range(1, node + 1):
for j in range(1, node + 1):
# 도달할 수 없는 경우
if graph[i][j] == INF:
print("무한", end=' ')
else:
print(graph[i][j], end=' ')
print()